영어 문법은 크게 시험용 문법과 영어를 사용하기 위한 문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영어 학습자로서 영어 문법을 대하는 태도, 영어 문법을 배우는 이유, 영어 문법을 배우는 시기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문법의 정의
표준 국어 대사전에서는 '문법'을 말의 구성 및 운용상의 규칙. 또는 그것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한 단어로 요약하면 '규칙'입니다.
구글 사전에서는 'grammar'를 the whole system and structure of a language or of languages in general, usually taken as consisting of syntax and morphology (including inflections) and sometimes also phonology and semantics.(한 언어 또는 일반적인 언어의 전체 체계와 구조, 일반적으로 구문론과 형태론 그리고 때로는 음운론과 의미론으로도 간주된다)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한 단어로 요약하면 '체계'(system)입니다.
둘 다 맞는 정의이지만 저는 '규칙'보다는 '체계'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정확히는 '이미 존재하는 것을 문법학자들이 체계화시키고 정리한 것'입니다. 누군가가 언어 규칙을 정하고 그것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동시대의 대다수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에서 특정한 패턴을 발견해내고 정리해서 체계화시킨 것이 문법이기 때문입니다.
"나는 영어를 배운다."
"나는 영화를 봤다."
"나는 책을 읽었다."
이 문장들 속에서 같은 패턴을 발견해내고 그 패턴을 "한국어는 주어, 목적어, 동사 순서로 이야기한다."라고 정리한 것이 문법입니다.
"I had dinner."
"I wrote a book."
"I bought a new car."
이 문장들 속에서 같은 패턴을 발견해내고 그 패턴을 "영어는 주어, 동사, 목적어 순서로 이야기한다."라고 정리한 것이 문법입니다. (구체적으로는 문장 구조에 대한 문법)
따라서 특정한 문법이 존재한다면 실제로 사람들이 해당 문법에서 설명하는 '방식'으로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I dinner had', '먹었다 밥을 나는' 같은 방식으로 사람들이 말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저는 문법을 '사람들이 언어를 말하고 쓰는 방식'이라고 정의합니다.
문법을 배우는 이유
저는 학창 시절 영어 과목을 좋아했지만 영어 문법은 싫어했습니다. 영어 문법을 배운 후에 그 문법을 활용해서 영어를 사용하는 법을 배운 것이 아니라 특정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문법 문제를 푸는데 적용하는 법만 배웠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지난 몇 년간 영어를 '과목'으로서가 아닌 '언어'로서 배우는 동안 영어 문법을 싫어해본 적은 없습니다. 오히려 명쾌하고 적절한 문법 설명을 발견하면 기뻤습니다. 영어 지식만으로는 '언어'로서의 영어를 잘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지식이 도움이 안 된다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지식은 적절하게 활용하면 영어 실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문법이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문법을 배울 때 중요한 것은 '규칙'을 배우는 것이 아닙니다. 이해가 안 되는 영어 문장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문법을 배우는 주요 목적이 되어야 합니다.
한국어에서는 보통 '나는 저녁을 먹었다.'라고 합니다. 물론 조사가 있기 때문에 '저녁을 나는 먹었다.', '먹었다 나는 저녁을'이라고 해도 의미는 완벽하게 전달됩니다만 만약 제가 조별과제를 발표하거나, 책을 집필한다면 특별한 목적이 있는 경우가 아닌 이상 '나는 저녁을 먹었다'라는 문장을 사용할 겁니다.
영어에서는 'I had dinner'라고 하지 'I dinner had'라고 하지 않습니다. 한국어를 쓰는 사람들에게는 그들이 말하는 방식이 낯섭니다. 한국어는 동사를 문장 마지막에 이야기하는 언어이고 영어는 동사를 앞부분에 미리 말하는 언어입니다. 이것이 영어 지식입니다. 이 지식을 알면 영어를 이해하기 더 쉬워집니다. 이런 지식을 배운 후에 영어를 습득하면 아무런 지식도 없는 상태에서 영어를 습득하는 것보다 더 수월하고 빠르게 영어를 습득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문법은 규칙을 배워서 적용시키기 위해서가 아니라 문장의 의미를 더 잘 이해하고 영어 습득률을 높이기 위해서 배우는 것입니다.
문법을 배우는 시기
문법을 배웠을 때 얼마나 잘 흡수할 수 있는지 결정하는 요소는 두 가지입니다. 첫째, 영어 실력입니다. 둘째, 인풋량입니다. 인풋이란 바깥에서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말합니다. 듣기와 읽기가 인풋에 속합니다. 영어를 많이 읽거나 들어보지 않은 상태에서 문법을 배우면 문법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문법이란 것이 애초에 수많은 문장을 분석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인풋량이 많이 쌓여 있을수록 문법 설명을 읽거나 들었을 때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어떤 문법 강의를 봤는데 잘 이해가 안 되고 선명하게 와닿지 않는다면 평소 인풋량이 충분한지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문장 샘플을 많이 확보한 후에 문법을 배우는 것이 기본입니다.
초급 문법을 배우는 가장 좋은 시기는 초급 때 쉬운 문장을 많이 읽고, 쉬운 말을 많이 들은 후입니다.
문법을 대하는 태도
문법은 영어를 더 정교하게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문법은 단독으로 배우면 문법적 지식만 늘어납니다. 이것은 문법학자들이 하는 일이지 언어 학습자가 해야 할 일은 아닙니다. 영어 학습자들에게 문법은 영어를 습득할 때 좀 더 높은 해상도로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는 보조 도구입니다. 이 도구를 잘 활용하면 영어를 습득할 때 흡수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영어 > 영어 공부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원서 단어 난이도 (0) | 2022.06.21 |
---|---|
영어 혼자 말하기 (0) | 2022.05.25 |
영어 원서 읽는 법 (0) | 2022.05.25 |
영어 원서 고르는 법 (0) | 2022.05.21 |
영어 단어 외우는 법 (0) | 2021.10.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