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영어 공부법

영어 단어 외우는 법

by sunnysun0909 2021. 10. 9.
반응형

학창 시절 시험 영어만 공부했던 저는 언어로서의 영어를 30대 중반이 되어서야 배우기 시작했습니다. 언어로서 영어를 배울 때 단어를 외우는 법은 시험 영어를 공부할 때 단어를 외웠던 방법과 많이 달랐습니다. 이 글에서는 영어 단어를 외울 때 무엇을, 어떻게, 언제, 왜 외워야 하는지에 대해 제가 그동안 경험하고 배웠던 것들을 이야기해보겠습니다. 

 

 

1. 왜?

모국어도 마찬가지이지만 어휘를 따로 외우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어휘력은 당연히 차이 날 수밖에 없습니다. 단어를 제대로 외운다면 어휘력은 높으면 높을수록 좋습니다. 일상 회화 수준에서는 사실 많은 어휘를 알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책, 팟캐스트, 영화, 드라마, 다큐, 뉴스 등을 소비하기 위해서는 어휘력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단어를 많이 외워도 도움이 안 된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어떤 방식으로 단어를 외우느냐에 따라 도움이 안 될 수도 있고,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어휘는 크게 능동적 어휘(active vocabulary)와 수동적 어휘(passive vocabulary)로 나눌 수 있습니다. 능동적 어휘는 아웃풋(말하기, 쓰기)할 수 있는 어휘입니다. 수동적 어휘는 인풋(읽기, 쓰기)할 때는 이해할 수 있지만 아웃풋 할 때는 아직 사용 못하는 어휘입니다. 능동적 어휘와 수동적 어휘를 외우는 방식은 다릅니다. 회화실력을 향상하고 싶은 사람이 수동적 어휘를 외우는 방식으로만 단어를 외우면 좋은 결과를 얻기 힘듭니다. 능동적 어휘와 수동적 어휘에 대해서는 기회가 되면 좀 더 자세하게 다루겠습니다.

 

 

2. 무엇을?

 

빈도수가 높은 단어

옥스퍼드 사전에 따르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영어 단어는 약 171,146 개라고 합니다. 영어 원어민들이 평균적으로 아는 단어 수는 몇 개일까요? Quora(전 세계 수억 명이 이용하는 지식검색 사이트)에 이와 관련된 질문이 올라온 적 있는데 답변들을 종합해보면 약 2만 개 정도라고 합니다. 하루에 20개씩 매일 외울 수 있으면 약 2.5년 정도 걸립니다. 하루에 10개씩 매일 외울 수 있으면 약 5년 정도 걸립니다. 우리가 외워야 할 단어는 이 2만 개의 단어입니다.

 

관심 분야의 단어

빈도수가 낮더라도 각자의 관심분야에 속하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극을 좋아한다면 상감, 저하, 침소 등의 단어를 외우는 것이 좋습니다. 이 단어들은 사극이나 역사책 밖에서는 거의 들어볼 일이 없는 단어들이지만 매일 사극을 즐겨보는 사람은 이 단어를 매일 듣게 될 겁니다. 관심 분야가 사극이든, 천문학이든, 여행이든, 요리든 각 분야에서 특히 자주 등장하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관계

appointment를 (특히 업무 관련) 약속이라고 사전에 있는 한국어 번역을 외운 것은 단어를 외운 것이 아닙니다. 단어가 개별적으로 떨어져 있어서 외부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파악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appintment라는 단어가 어떤 상황이나 단어들과 관계를 맺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appintment는 진료예약, 미용실, 헤어숍 예약, 부동산 예약 등의 상황에서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내일 제 친구 춘자와 만나서 점심 먹기로 했을 때 사용할 단어는 아닙니다. "내일 기봉이랑 영화관 가기로 했어."라고 말하면 자연스럽지만 "내일 기봉이랑 영화관 방문하기로 했어."라고 하면 부자연스럽게 들립니다. 아쿠아리움 속의 열대어나 상어를 보면 자연스럽지만 낙타가 수족관 속에서 걷고 있다면 "???"라는 느낌이 들지 않을까요?

 

 

3. 어떻게?

 

단어의 진짜 의미

달을 보라고 손가락으로 달을 가리키고 있는데 손가락을 보느라 달을 보지 못하면 안 됩니다. 달은 단어가 내포한 의미, 문맥 속에서의 느낌, 어감 등입니다. 손가락은 사전적 정의, 사진, 움짤 등입니다.

 

그럼, 한국어 번역만 외우는 것은 무엇과 같을까요? 그것은 달을 가리키고 있는 손가락을 가리키고 있는 손가락만 보는 것과 같습니다. 단어를 외울 때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고 느낀 후에 그것을 자기 것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단어의 번역을 외우는 것은 단어의 의미를 외우는 것이 아니라 단어의 번역을 외우는 것입니다. 

 

달을 봤는지 손가락만 봤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수동적 어휘는 어떤 단어가 어느 상황이나 문맥 속에 놓여 있어도 그 단어가 포함된 문장이나 구절을 듣거나 읽었을 때 상황을 머릿속에서 그릴 수 있거나 문장이 가진 어감을 알 수 있으면 됩니다.   

능동적 어휘는 단어를 써도 되는 적절한 상황을 몇 가지 떠올릴 수 있으면 됩니다. 예를 들어, '홍수'라는 단어를 보고 '비가 많이 오네. 홍수가 날 것 같다.', '이번 여름에는 다행히 홍수가 안 났다.' 등의 상황을 떠올릴 수 있으면 됩니다. 추가로 영어 단어를 외울 때는 단어와 짝을 맞춰서 사용되는 전치사도 함께 외워야 합니다.

 

감정과 경험

더 강렬한 감정과 연결된 경험일수록 오래 기억됩니다. 간접 경험보다는 직접 경험이 훨씬 더 강렬합니다. 따라서 가능하다면 다른 사람과 직접 소통하면서 배우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hate라는 단어를 사전에서 배우고, 영상이나 글에서 배울 때보다 친구와 심하게 다투다가 친구에게서 "I hate you."라는 말을 직접 들었을 때 hate라는 단어가 주는 느낌이 훨씬 더 강합니다. 

 

그런데 영어 원어민과 직접 소통하면서 배우기 힘든 상황에서는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을까요? 지루하고 재미없고 따분하고 졸리고 아무런 감정도 생기지 않는 콘텐츠를 통해서 영어를 배우는 것을 최대한 피하고, 반대로 여러분을 설레게 하고, 가슴 뛰게 하고, 여러분이 감정적으로 강하게 몰입할 수 있는 콘텐츠를 통해서 영어를 배우는 것이 좋습니다. 직접 경험보다 강도는 약하지만 우리 뇌는 언어를 통해서 간접 경험을 마치 직접 경험인 것처럼 느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감각과 관련된 단어들을 읽을 때 우리가 실제로 그 감각을 느낄 때 활성화되는 뇌 부위가 활성화된다는 연구가 매리언 울프의 '다시 책으로'에 나와 있습니다. 그래서 읽기는 외국어를 배울 때 아주 강력한 수단입니다. 간접 경험 중에서 가장 직접 경험에 가까운 경험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어릴 때는 우리 눈에 세상은 새로운 것들로 가득했습니다. 우리는 호기심으로 가득 찬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봤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새로움, 낯섦, 호기심이 아이들이 언어를 빨리 배우는데 영향을 준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새로움과 모험으로 가득 찼던 세상은 우리가 어른이 되면서 퇴색하고 시들해지고 지루해졌습니다. 우리가 아이로 돌아가지 않는 한 이건 바꿀 수 없지만 콘텐츠를 잘 고르면 이런 핸디캡을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4. 언제?

우리 뇌는 학습한 내용을 1시간 후에 56%, 1일 후에 67%, 6일 후에 75%, 31일 후에 79% 잊어버립니다.(망각 주기) 반복하면 반복할수록 잊어버리는 속도가 점점 느려지고 결국에는 장기 기억이 됩니다. 그래서 한 단어를 한 달 동안 매일매일 반복하는 것은 시간 대비 효율이 좋지 않습니다. 단어를 외울 때는 특히 시간 대비 효율이 중요합니다. 외워야 할 어휘 수에 비해서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매우 적기 때문입니다. 2~3살 때부터 영어를 배운다면 30살이 될 때까지 약 30년이라는 시간이 있지만 저처럼 30대 중반부터 영어를 배우면 30년이 지나면 60세가 넘어갑니다. 그래서 최대한 시간 대비 효율이 좋은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성과가 빠르게 나와야 계속 영어를 배울 힘이 생깁니다. 열심히 노력했는데 성과가 좋지 않으면 그 일이 뭐가 됐든 간에 지속하기 힘들어집니다.

 

 

5. 사전 vs 유추

다음의 세 문장을 보고 trailblazer가 무엇인지 유추해 보십시오. 그리고 아래의 사전적 정의를 보고 의미를 파악한 후에 다음의 세 문장을 읽어 보십시오. 어떤 문맥과 상황 속에 어떤 단어가 들어 있느냐에 따라 유추하기 쉬울 수도 있고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바꿔 말하면 주변 조건에 의해서 유추했을 때 정답률이 결정된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사전을 찾으면 거의 모든 경우에 정답률은 100%입니다. 여러분이 상황의 통제권을 가진 것입니다. 새로운 것을 배울 때 어느 쪽이 더 효율적일까요? 물론 어렵게 유추해서 알아낸 단어는 기억에 오래 남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쉽게 배운 것은 쉽게 증발됩니다. 이런 단점은 안키(anki) 같은 단어 암기 프로그램을 통해서 완전히 보완할 수 있습니다. 

 

1) One of those companies redefining retail is Sephora, which has been a trailblazer in the beauty (retail) industry for decades.

2) One of the trailblazers of rock and roll

3) A trailblazer in the field of medical research

 

trailblazer:

1) (삼림·미개지 등에서 뒤에 오는 사람의 길 표지가 되도록) 길에 표를 하는 사람

2) (어떤 분야의) 개척[선구] 자(pioneer)

 

책 읽을 때 사전을 반드시 찾아봐야 하는 이유

영어는 발음기호를 확인하거나 오디오를 듣고 발음을 확인하지 않으면 발음을 정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영어는 문자대로 소리 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단어의 강세가 중요한 언어입니다. 대부분의 온라인 사전은 발음기호와 발음 오디오 파일을 제공합니다. 단어의 의미를 찾아보면서 함께 발음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단어의 종류

단어는 그 특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특성을 이해하고 차이를 고려해서 단어를 배워야 합니다.

 

시각이 중요한 단어 : 동작, 표정, 색깔

청각이 중요한 단어 : 소리

후각이 중요한 단어 : 냄새, 맛

미각이 중요한 단어 : 맛

촉각이 중요한 단어 : 촉감, 질감

감정이 중요한 단어 : 느낌, 감정, 기분

지식이 중요한 단어 : 사물, 동물, 개념, 전문용어

 

동작(난이도 하)

이 범주에 속하는 단어들은 우리 몸이 실제로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 수 있으면 됩니다. 구글에서 gif 파일(움짤)을 검색하거나 영상 속에서 배우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예) hug, cradle, spoon, plod, throw

 

표정(난이도 하)

이 범주에 속하는 단어들은 얼굴 표정만 알면 되기 때문에 배우기 쉬운 편입니다. 구글에서 gif 파일(움짤)을 검색하거나 영상 속에서 배우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사전에서 많은 정보를 얻기 힘든 단어들입니다.

예) wince, grimice, grin, crinkle

 

색깔(난이도 하)

이 범주에 속하는 단어들은 색을 구분할 수 있으면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구글 이미지 검색을 활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사전에서 많은 정보를 얻기 힘든 단어들입니다.

예) red, crimson, auburn

 

소리(난이도 하: 오디오를 들을 수 있는 경우)

이 범주에 속하는 단어들은 관련 오디오나 영상을 듣거나 볼 수 있으면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구글에서 비디오 검색을 하거나 유튜브 검색을 추천드립니다. 사전에서 많은 정보를 얻기 힘든 단어들입니다.

예) chirp, roar, squeal

 

냄새(난이도 중)

이 범주에 속하는 단어들은 혼자서 배우기 약간 까다롭습니다. 사전 설명, 유튜브 영상, 다양한 문맥 등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후각과 미각은 사람들이 공유하는 감각이므로 적절한 설명과 다양한 상황을 접할 수 있으면 충분히 배울 수 있습니다. 사전의 비중이 낮은 편에 속하는 단어들입니다.

예) rank, damp, salty, watery, spicy

 

촉감, 질감(난이도 중)

직접 만져보는 것이 가장 좋지만 그럴 수 없을 때는 어떤 것을 만졌을 때 그 단어를 쓰는지 관찰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가령, 모직 스웨터를 입었는데 itchy라는 표현을 썼다면 itchy가 어떤 느낌인지 파악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 bristle, smooth

 

느낌, 감정, 기분 (난이도 상)

이 범주에 속하는 단어들은 얼마나 많은 상황을 접하는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첫째, 미묘한 차이를 가진 감정을 나타내는 단어들이 많이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애통하다', '비통하다', '원통하다' 같은 단어들입니다. 둘째, 이 단어들은 감정과 대응되는 단어들이기 때문에 사물, 색깔, 동작과는 다르게 단번에 파악하기가 어렵습니다. 이 단어들은 상황을 많이 접하면 배우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유의어나 반대어를 통해서 더 구체적인 어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셋째, 단어가 아우르는 감정의 범위가 한국어에 존재하는 단어가 아우르는 감정의 범위와 일부만 겹치고 나머지는 겹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혼동하기 쉽습니다. 감을 잡는 게 아주 중요한 단어들입니다.

예) morose, dipressed, ecstatic, swoon, sullen

 

사물, 생물 (난이도 하)

단어와 대응되는 실제 사물이 존재하는 단어이기 때문에 배우기 쉽습니다. 구글 이미지 검색을 추천드립니다.

예) extension cord, pen, book, lion, dog, cat

 

개념, 전문용어 (난이도 하)

이 범주에 속하는 단어들은 한국어와 영어에 공통으로 존재하거나 아예 영어에 있는 개념을 그대로 한국어로 번역한 경우도 많기 때문에 사전에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 democracy, science, math, deposition, limbic system

 

 

정리

지난 4년 동안 영어를 독학하면서 어휘력을 향상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본 결과, 제 어휘력 향상에 가장 큰 도움을 준 것은 다음 두 가지입니다.

 

  • 언제, 어떻게, 무엇을 외울지 정하기
  • 망각 주기에 따라 복습 스케줄을 만들어주는 안키를 활용하기

 

 

2022.06.05 - [영어/안키(Anki)] - 최고의 영어 단어 암기 프로그램 : 안키

 

최고의 영어 단어 암기 프로그램 : 안키

안키는 망각 주기를 고려해서 영어 단어 암기를 도와주는 최고의 프로그램입니다. 영어 어휘력을 늘리고 싶은 분들께 강력 추천드리는 프로그램입니다. 안키를 한마디로 정의하면 단어 플래시

leesun0909.tistory.com

 

반응형

'영어 > 영어 공부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원서 단어 난이도  (0) 2022.06.21
영어 혼자 말하기  (0) 2022.05.25
영어 원서 읽는 법  (0) 2022.05.25
영어 원서 고르는 법  (0) 2022.05.21
영어 문법을 배우는 이유  (0) 2022.05.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