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안키(Anki)

안키 복습하는 법

sunnysun0909 2022. 6. 12. 18:38
반응형

이 글에서는 안키를 사용할 때 중요한 개념인 '살아있는 단어'와 subtext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핵심 테크닉인 'Reformulation'을 사용해서 안키 복습을 효율적으로 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사전적 정의

사전 편찬자들은 사람들의 대화와 글 속에서 생동감 있게 살아 움직이는 단어들을 수집합니다. 그리고 단어가 가진 핵심만 남기고 보기 좋게 손질한 후에 정교하게 압축해서 사전이라는 특정 공간에 박제하고 전시합니다. 그들은 사전의 방대한 벽면 어느 한 곳에 사자라는 것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신체 부위인 머리만 박제합니다. 사람들의 대화, 책 속의 문장 안에 있는 persist가 '살아 움직이는 초원의 사자'라면 아래처럼 사전 속에 있는 persist는 '박제된 사자의 머리'입니다. 

 

Definition of persist:

  • 집요하게 [고집스럽게/끈질기게] 계속하다
  • (없어지지 않고) 계속[지속]되다
  • to try to do or continue doing something in a determined but often unreasonable way:
  • If an unpleasant feeling or situation persists, it continues to exist:

 

살아있는 단어

사전적 정의는 단어의 일부분입니다. 우리의 증명사진이나, 이력서나, 자기소개서가 우리가 아닌 것처럼요. 사전적 정의(박제된 사자 머리)는 우리가 단어(살아있는 사자)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도구일 뿐입니다. 단어는 그 단어가 말과 글 속에서 표현하는 내용, 느낌, 발산하는 분위기 등의 총합입니다. 아래 영어 문장은 사전이 가진 한계와 어휘를 배울 때 중요한 점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Don't be narrow minded as to think dictionary can provide a meaningful definition of everything even with the most subjective things like political topics, instead learn to read the subtext and focus on it's possible meanings in our time as language is not stationary."

 

"정치적 주제와 같이 가장 객관적인 것들에 대해서 조차도 사전이 모든 것에 대해 의미 있는 정의를 제공해줄 거라는 편협한 생각을 버려라. 대신 숨겨진, 내포된 의미를 읽는 법을 배우고, 언어란 고정돼 있는 것이 아니므로 우리가 살아가는 이 시대 속에서 가지게 될 의미에 초점을 맞춰라."

 

  • 사전적 정의(definition) = 박제된 사자 머리
  • 숨겨진 의미(subtext), 이 시대 속에서 가지게 될 의미(possible meanings in our time) = 초원에 살아있는 사자

 

Reformulation

다음은 이 시대의 가장 영향력 있는 지성인 중 한 사람인 조던 피터슨 박사가 책을 읽고 책 내용을 기억하는 비결에 대해 이야기한 내용입니다.

 

"Recall is the spontaneous act of remembering something complex. When you recall something, you're actually practicing remembering it. And that's what you need to do if you want that to be part of you. Read the sentence. Close the book. And then reformulate the sentence so that now it's your sentence. Then you'll remember it. Then you'll understand it. That works really well."

 

핵심은 책 내용을 잘 기억하기 위해서는 책을 읽은 후에 책을 덮고 책에서 읽은 문장을 자기화시킨 후에 자기만의 문장으로 다시 만들어내라는 것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개념은 'reformulation'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reformulation'은 내용을 충분히 이해한 후에 머릿속에서 내용을 정리해서 자신의 언어로 재구성하는 것입니다.

 

새로운 단어를 배울 때는 사전에 적힌 내용과 예문, 유의어 등의 정보를 종합해서 박제된 단어가 아닌 살아있는 단어가 어떤 모습, 빛깔, 감촉 일지 파악한 후에 자신의 언어로 그 단어를 쉽게 설명해봐야 합니다. 

 

 

복습 방법

단어를 외울 때 가장 중요한 개념에 대해 알아봤으니 이제 본격적으로 카드 복습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기본적인 방법은 간단합니다.

 

  • 앞면의 문장과 단어를 보고 내용 떠올리기
  • 하단의 답 보기 버튼 누르기
  • 뒷면의 내용을 읽어본 후에 앞면을 봤을 때 떠올렸던 내용이 맞았다면 '쉬움' 버튼 누르기, 틀렸다면 '다시' 버튼 누르기 
  • 어려움 버튼, 알맞음 버튼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어려움, 알맞음 버튼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

 

  • 답을 맞힌 후에 어려웠는지, 난이도가 적절했는지, 쉬웠는지 구분하는 것은 주관적 판단입니다. 그날의 컨디션이나 기분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런 불안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복습 스케줄을 설정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복습 과정만 불필요하게 복잡하게 만듭니다.
  • '답을 맞힐 경우 '쉬움', 틀릴 경우 '다시'를 누른다.'라는 심플한 룰을 적용하면 복습할 때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단어

여러분은 '신물 나다', '황홀하다', '빌리다'의 뜻, 각 단어가 쓰이는 상황을 조카에게 쉽게 설명할 수 있고, 간단한 예문도 몇 개 만들어낼 수 있을 겁니다. 이것이 안키 복습할 때 단어를 보고 해야 할 reformulation입니다. 

 

답을 맞혔는지 못 맞혔는지 판단하는 기준은 '자기화'해서 잘 설명할 수 있는가입니다.

 

단어를 보고 머릿속에 떠올릴 내용

 

  • 단어를 나만의 언어와 방식으로 설명하기 
  • 단어가 사용되는 상황을 설명하거나 적절한 예문을 만들어내기

예)

단어 : persist

"persist는 장애물이 있거나 상황이 힘들다 해도 계속해서 뭔가를 꾸준히 해나가고 밀어붙이는 행위를 묘사할 때 쓰는 말이야. 예를 들어, 나는 늘 일에 지쳐 피곤했지만 지난 1년 동안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하루에 1시간씩 영어 공부를 했어. 이 상황에서 persist를 쓸 수 있어."

 

 

문장

답을 맞혔는지 못 맞혔는지 판단하는 기준은 문장 속의 스토리와 상황을 파악했는가입니다.

 

문장을 보고 떠올릴 내용

 

  • 문장 속의 상황

예)

문장 : If he persists in asking awkward questions, then send him to the boss.

"A가 B에게 곤란한 질문을 계속하는 어떤 남자에 대해 이야기했고, B는 A에게 그 남자가 끈질기게 계속 그 질문을 하면 boss에게 그 남자를 보내라고 이야기하는 장면이구나."

 

 

뒷면 : 사진, 정의, 유의어, 발음기호, 발음

뒷면의 내용은 정독하는 걸로 충분합니다. 내용을 암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발음 오디오 파일을 듣고 발음기호를 참고해서 직접 소리 내서 단어를 발음해봅니다. 

 

 

매일 복습

위의 방법으로 매일매일 안키 복습 스케줄에 따라 카드를 복습합니다. 안키 스케줄은 하루 단위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매일매일 빠뜨리지 않고 복습해야 합니다. 따라서 복습량은 적당히 조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하루 20분 정도 안키 복습을 할 수 있다면 새 카드는 하루에 5개 정도 추가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하루 5개가 적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카드가 누적되기 때문에 처음 며칠은 2~3분밖에 안 걸려도 나중에는 20~30분까지 하루 복습량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틀려도 스트레스받지 말기

복습하다 보면 지난번에 봤던 카드인데 반복해서 틀리는 경험을 하게 되실 겁니다. 이때 스트레스를 받으실 수도 있는데 안키 복습은 시험과는 성격이 매우 다릅니다. 시험의 목적은 평가입니다. 틀리면 점수를 얻지 못합니다. 반면 안키의 목적은 어떤 단어를 기억하고 최종적으로 그 단어에 대한 기억을 장기기억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단순히 잊어버리기만 한다면 단어를 기억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여러분이 안키 복습 과정에서 하는 것은 단순히 잊어버리는 것이 아닙니다. '잊어버렸던 것을 다시 상기시키는 것'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서 우리는 단어를 오래 기억할 수 있게 됩니다. 그래서 저는 안키 복습 중에 답을 틀리면 '답을 틀렸어'가 아니라 '단어를 기억하는 중이야'라고 생각합니다.

 

 

반드시 인풋과 함께 안키를 사용하기

안키를 사용하지 않고 고전적인 방식으로 단어를 외우는 것은 서울에서 파리까지 도보로 가는 것과 같습니다. 안키를 활용해서 단어를 외우는 것은 서울에서 파리까지 신기술이 들어간 발명품인 자전거를 타고 가는 것과 같습니다.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면 더 적은 에너지를 들여서 더 빠른 시간 안에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게 됩니다. 제가 안키를 제트기나 기차라고 하지 않은 이유는 여러분이 안키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결국에는 직접 페달을 밟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안키를 사용한다고 해서 그냥 편하게 기차나 비행기를 타고 목적지에 도착할 수는 없습니다. 메인은 원서 읽기, 넷플릭스 시청, 유튜브 시청 등의 인풋(다리 근육)이고 안키는 보조제(바퀴)입니다. 제트기가 아니라서 실망하셨나요? 실망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전거 없이 걸어가고 있기 때문입니다.(국내의 영어 학습자들 중에서 안키를 사용하는 사람, 그리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은 매우 드뭅니다.)

 

 

 

2022.06.09 - [영어/안키(Anki)] - 안키 카드 만드는 법

 

안키 카드 만드는 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효과적인 안키 카드 만드는 법을 공유하려 합니다. 1 단계 : 단어 선별하기 실질적으로 하루에 소화할 수 있는 복습량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개인마다 차이가 있지만 제 경우

leesun0909.tistory.com

 

반응형